올해는 전시 후기뿐만 아니라, 영화도, 책도 후기를 착실하게 써볼까 하는 생각을 품고 있기 때문에 사소하게 스치며 본 거라도 얼른얼른 적어놓으려 한다. 까먹기 전에... 



올해의 첫 전시 관람은 거창하게 어디론가 미술관을 찾아간 게 아니라, 2주에 한번 가는 궁궐 옆 고궁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조선 왕실의 어진과 진전>.


'어진'은 왕의 초상을, '진전'은 어진을 봉안해둔 건물을 이르는 말이다. 조선에서 '어진'은 곧 국왕과 동일시되는 그림이라 진전에 봉안될 때는 따로 가마에 싣고 어가 행렬처럼 거창하게 운반했단다. 진전은 각 궁궐에도 있었고, 지방에도 있었으므로 (전주의 <경기전>처럼) 어진이 왕마다 여러 개나 존재했다는 얘긴데... 


조선 왕실에선 5백여년간 난리통에도 죄다 어진을 싸짊어지고 다니면서(가마로 옮길 형편이 안되는 응급상황엔 요즘 미대생들처럼 길쭉한 원통에 족자를 말아 넣고 가죽주머니에 넣어 짊어졌단다. 그 운반도구 실물도 전시되어 있음), 대대로 역대 왕들의 초상을 다시 베껴그리고 새로 장만해 왕조의 위엄과 정통성을 지키려했으나... 그 눈물겨운 노력의 소산은 1950년대 부산 피난시절 한국전쟁을 무사히 다 겪고 난 다음에 또 하필 창고에 불이나 죄다 타버리고 몇 점 안남아 있단다. +_+ 


해서 보물급 어진이 남아있는 왕은 태조, 영조, 철종(그나마 다 불타고 남은 절반만), 고종, 순종 정도다. 나머지 왕들의 초상화는 그러니까 다 현대 들어 화가들이 상상으로 그린 그림들.


조선의 초상화 기법은 사마귀 하나, 검버섯 하나도 사실적으로 있는 그대로 그리는 것이었다니, 역대 왕들의 어진이 죄다 남아있다면 부전자전으로 얼마나 닮았는지, 정말 볼만했을 텐데 참으로 안타깝다. 그런 의미에서 기골이 장대한 태조 이성계와 왜소한 체격이 느껴지는 영조 어진의 차이는 퍽 재미나다. 경기전에서도 (복제품으로) 봤지만 붉은 용포가 아니라 푸른 용포를 입은 태조의 어진은 참신하기까지. 용포가 아니라 드물게 군복을 입은 철종 어진도 신기한데, 난 철종 어진을 볼 때마다 그가 사시인가 아닌가(실제로 사시였다고 들은 것도 같고...) 궁금해 죽겠다. 

 

어진은 남은 게 없으니 전시엔 주로 어진을 옮긴 기록을 담은 의궤라든지, 진전의 현판, 진전에서 쓰던 제기, 그밖에 문신들의 초상화 등도 같이 전시되어 있다. 하여, 엄청나게 볼 거리가 많다고는 절대 할 수 없는 작은 기획전시.


하지만 절반 가까이 타버린 '철종 어진'을 비롯해 보물급 어진을 실제로 볼 수 있는 기회를 노린다면 쏠쏠하다고도 하겠다. 째뜬 난 보고 싶었음. 연령대별로 어진을 여러번 그렸다는(대체로 10년만에 한번씩 개비한다던가...) 영조의 외모가 어떻게 변해갔을지 상상도 해보고 말이지.. 아주 깐깐하고 까탈스러운 할아버지 같은 느낌이 들지 않나? ^^; 물론 로얄패밀리다운 위엄도 느껴지지만...


관람료는 무료이고 2월 14일까지 전시한다.




Posted by 입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