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편함 맨 밑바닥 광고물 아래 깔려 있어 온 줄도 몰랐던 어느 출판사의 작년 하반기 인세보고서를 이제야 개봉하고는 키득키득 웃었다.
출고 44권, 반품 46권.
실판매 -2권 (마이너스 두 권이란 뜻이다)
폐기 103권
증정및 홍보 217권.
총판매누계 3701권. (총 제작부수는 4천권이었다)
결과적으로 지급할 인세액 란에는 마이너스 천원이 기재되었다. 계산하기 좋게 책의 정가도 딱 만원이었고, 번역인세율은 정직하게 5%(창작인세 10%, 번역인세 5%면 갑과 을이 서로 공평하다 인정하는 적정수준이다)였기 때문이다. 이 금액을 추후 판매분 인세에서 정산하겠다는 요지의 인세보고서다.
참고로 이 책으로 내가 작년 상반기에 지급받은 인세는 268부에 해당하는 13만원 정도의 금액이었다. 만 3년 반 동안 꼬박 이 책으로 발생한 인세의 총액을 계산해봐도 180만원 정도에 불과하다. 1년 평균 60만원이 채 안된다. 만약에 내가 이렇게 안팔리는 책으로만 인세로 계약해 일년내내 작업했더라면 두달에 한권씩 떡찍어내듯 번역했다고 해도 연봉이 88만원세대의 절반도 안됐을 거라는 얘기다. 켁.
책이 2007년에 나와서 초판 1쇄를 2천부 찍었고, 그나마 2년만에 2쇄, 3쇄를 1000부씩 더 찍었다는 걸 기뻐했던 순간도 있었으나, '좋은' 책을 주로 많이 내면서 모든 번역료를 인세로 정직하게 지급해온 이 출판사에서 책을 좀 팔아 이윤을 내보겠다고 상업적인 실용서를 낸 결과가 이러하니 다른 인문교양서의 실적은 어떠할지 출판계의 상황이 눈에 선하다.
오래된 지인이 편집장으로 있던 이 출판사와 이 책을 계약하며, 최소한 5, 6천부는 팔릴 것을 예상한다며 좀 오래 걸려서 그렇지 매절 번역료와 거의 비슷한 수준의 원고료는 챙겨줄 수 있을 것이라는 말을 들었다. 당시 그 말을 곧이곧대로 믿은 건 아니었지만, 내심 주기적으로 수입이 들어오는 인세 계약이 여럿 쌓이면 꽤 짭짤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품었던 것 같다. 그러나 이후 2년쯤 욕심을 내며 계속 인세 계약에 응했던 책치고 2쇄 인쇄에 들어간 책은 거의 없다. 죄다 초판도 다 소화를 못했다는 뜻이다. 6만부 팔리면 미니쿠퍼를 살 수 있겠다고 호기롭게 꿈꾸었던 책들은 그 이십분의 일도 팔려나가지 않았다. 큭큭.
물론 아직도 버리지 못한 '번역인세 대박'의 꿈과, 초기비용을 줄이려는 출판사의 정책이 맞물려 지금도 번역작업의 둘 중 하나는 인세 계약이고 그에 대한 불만은 없다. 어차피 지켜보니 출판은 도박이나 로또 맞추기와 별 다를 게 없다. 그런 엄청난 행운이 나한테 떨어질 확률은 번개 맞을 확률보다 적다는 건 알지만, 그래도 정직한 퍼센티지의 인세계약과 인세지급이 장기적으로 번역하는 사람들에게 혜택이 된다고 믿기 때문이다. 물론 막강한 마케팅 전략으로 많이 팔릴 것을 예상하는 상업적인 책을 대뜸 인세로 계약해주는 출판사는 없지만, 생활을 위해서라도 나 역시 간간이 매절계약을 선호하니 그 또한 불만은 없다. 다만 아무 생각 없이 달려오다가 일년치 손익계산서를 손에 들게 되면, 간간이 한숨이 나올 정도의 연봉에 아득해질 뿐이다.
지병과 가난으로 아사한 젊은 시나리오작가를 두고 많은 논란이 오고가는 가운데, 새삼 저런 인세보고서를 열어보니 나 또한 만감이 교차했다. <빵굽는 타자기>를 읽으며 폴 오스터도 성공한 작가가 되기까지 글줄로 밥벌이를 하느라 꽤 오래 힘겨운 시절을 보냈다는 내용에 한편으로 안도하면서도, 한편으로 고까운 느낌이 들었었다. 어차피 이제 그는 성공한 작가가 아닌가 말이다. 며칠전 무릅팍 도사에 나온 공지영도 가난한 시절의 에피소드를 뽐내듯 말하던데, 그들이 아무리 과거의 지난함을 토로하더라도 이미 그들은 부와 성공을 거머쥔 기득권자들이다. 물론 이렇게 엄살을 떨고 있는 나 역시 일감이 없어 이런저런 쪽일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을 일부 번역가들에게는 젠체하는 '중견'으로 보일 것임을 잘 안다. 이른바 번역계의 중산층이라고나 할까. (그런데 중산층이 무너져 워킹 푸어가 되어가고 있는 건 번역계도 마찬가지;;)
하지만 최상위 1%의 사람들이 90%이상의 부를 소유하는 현상은 글쟁이 사회에도 똑같이 적용되는 것 같다. 총 판매부수가 900만부라는 베스트셀러 작가도 모은 돈이 하나도 없다고 엄살 떠는 판국에(물론 그 사람은 주변인이 다 써버렸다고 변명했다) 밑바닥에서 부정기적인 수입으로 고군분투하는 사람들은 오죽할까. 인세욕심에 눈이 어두워 불을 켰던 3, 4년전의 나도 아마 비빌 언덕 없이 완전 홀로 사는 신세였다면, 오피스텔 보증금을 다 까먹고 난 뒤 며칠에 한번씩 굶어야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내 경우엔 억누를 수 없는 식탐이 자존심과 수치심을 모두 이겨 주변에 손을 벌리게 만들었을 가능성이 농후하지만 말이다.
내 편견속의 글쟁이는 언제나 가난했다. 배부른 자의 손과 머리에선 청아한 생각과 문장이 나오지 않을 것이라는 편견이 대체 어디부터 비롯되었는지는 모르겠으나, 그 정도의 가난과 사회적 홀대와 역경은 감수해야 글줄로 밥벌이를 하겠다고 나설 자격이 된다는 것이 이 사회에 팽배한 의식인 것 같다. 그러다 개천에서 용 나듯, 가뭄에서 콩 나듯, 정말로 대중적인 성공을 거두는 글쟁이가 탄생하지 않는가. 그러나 현실은 참혹하다. '글'만 써서 생계를 유지할 수 있는 작가의 비율은 지극히 적으며, 다들 부업으로 삶을 영위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니 번역만 해서 굶지 않고 살 수 있는 나 정도면 감지덕지해야 할 것만 같다. 그런데 나름 중견이고 중산층인 내가 간간이 굶지 않은 이유의 절반은 캥거루족인 덕분이란 현실은 슬플 수밖에 없다. 만일 내가 부양가족이 있는 홀벌이 '가장' 번역가였다면 부업이 필수였거나, 더욱 코피터지게 일감을 찾아 헤매야했을 것이다. 그간 인세를 100억은 벌었을 작가도 통장에 잔고가 없다는데 나까짓 게으른 인간의 통장 잔고가 비어 있는 건 당연한 일. 최고은 작가와는 엄연히 다른 상황이면서 덩달아 넋두리하는 것 같아 부끄럽지만, 전체적으로 열악한 문화산업의 구조와 글쟁이를 홀대하는 사회 분위기가 만들어낸 서글픈 비극이라는 생각이 자꾸 든다. 결국 타인의 죽음에 제 밥그릇 타령만 하고 앉아있는 이 모진 현실에서 정년이 없어 선택한 이 길은 과연 언제까지 뚫려 있을까.
출고 44권, 반품 46권.
실판매 -2권 (마이너스 두 권이란 뜻이다)
폐기 103권
증정및 홍보 217권.
총판매누계 3701권. (총 제작부수는 4천권이었다)
결과적으로 지급할 인세액 란에는 마이너스 천원이 기재되었다. 계산하기 좋게 책의 정가도 딱 만원이었고, 번역인세율은 정직하게 5%(창작인세 10%, 번역인세 5%면 갑과 을이 서로 공평하다 인정하는 적정수준이다)였기 때문이다. 이 금액을 추후 판매분 인세에서 정산하겠다는 요지의 인세보고서다.
참고로 이 책으로 내가 작년 상반기에 지급받은 인세는 268부에 해당하는 13만원 정도의 금액이었다. 만 3년 반 동안 꼬박 이 책으로 발생한 인세의 총액을 계산해봐도 180만원 정도에 불과하다. 1년 평균 60만원이 채 안된다. 만약에 내가 이렇게 안팔리는 책으로만 인세로 계약해 일년내내 작업했더라면 두달에 한권씩 떡찍어내듯 번역했다고 해도 연봉이 88만원세대의 절반도 안됐을 거라는 얘기다. 켁.
책이 2007년에 나와서 초판 1쇄를 2천부 찍었고, 그나마 2년만에 2쇄, 3쇄를 1000부씩 더 찍었다는 걸 기뻐했던 순간도 있었으나, '좋은' 책을 주로 많이 내면서 모든 번역료를 인세로 정직하게 지급해온 이 출판사에서 책을 좀 팔아 이윤을 내보겠다고 상업적인 실용서를 낸 결과가 이러하니 다른 인문교양서의 실적은 어떠할지 출판계의 상황이 눈에 선하다.
오래된 지인이 편집장으로 있던 이 출판사와 이 책을 계약하며, 최소한 5, 6천부는 팔릴 것을 예상한다며 좀 오래 걸려서 그렇지 매절 번역료와 거의 비슷한 수준의 원고료는 챙겨줄 수 있을 것이라는 말을 들었다. 당시 그 말을 곧이곧대로 믿은 건 아니었지만, 내심 주기적으로 수입이 들어오는 인세 계약이 여럿 쌓이면 꽤 짭짤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품었던 것 같다. 그러나 이후 2년쯤 욕심을 내며 계속 인세 계약에 응했던 책치고 2쇄 인쇄에 들어간 책은 거의 없다. 죄다 초판도 다 소화를 못했다는 뜻이다. 6만부 팔리면 미니쿠퍼를 살 수 있겠다고 호기롭게 꿈꾸었던 책들은 그 이십분의 일도 팔려나가지 않았다. 큭큭.
물론 아직도 버리지 못한 '번역인세 대박'의 꿈과, 초기비용을 줄이려는 출판사의 정책이 맞물려 지금도 번역작업의 둘 중 하나는 인세 계약이고 그에 대한 불만은 없다. 어차피 지켜보니 출판은 도박이나 로또 맞추기와 별 다를 게 없다. 그런 엄청난 행운이 나한테 떨어질 확률은 번개 맞을 확률보다 적다는 건 알지만, 그래도 정직한 퍼센티지의 인세계약과 인세지급이 장기적으로 번역하는 사람들에게 혜택이 된다고 믿기 때문이다. 물론 막강한 마케팅 전략으로 많이 팔릴 것을 예상하는 상업적인 책을 대뜸 인세로 계약해주는 출판사는 없지만, 생활을 위해서라도 나 역시 간간이 매절계약을 선호하니 그 또한 불만은 없다. 다만 아무 생각 없이 달려오다가 일년치 손익계산서를 손에 들게 되면, 간간이 한숨이 나올 정도의 연봉에 아득해질 뿐이다.
지병과 가난으로 아사한 젊은 시나리오작가를 두고 많은 논란이 오고가는 가운데, 새삼 저런 인세보고서를 열어보니 나 또한 만감이 교차했다. <빵굽는 타자기>를 읽으며 폴 오스터도 성공한 작가가 되기까지 글줄로 밥벌이를 하느라 꽤 오래 힘겨운 시절을 보냈다는 내용에 한편으로 안도하면서도, 한편으로 고까운 느낌이 들었었다. 어차피 이제 그는 성공한 작가가 아닌가 말이다. 며칠전 무릅팍 도사에 나온 공지영도 가난한 시절의 에피소드를 뽐내듯 말하던데, 그들이 아무리 과거의 지난함을 토로하더라도 이미 그들은 부와 성공을 거머쥔 기득권자들이다. 물론 이렇게 엄살을 떨고 있는 나 역시 일감이 없어 이런저런 쪽일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을 일부 번역가들에게는 젠체하는 '중견'으로 보일 것임을 잘 안다. 이른바 번역계의 중산층이라고나 할까. (그런데 중산층이 무너져 워킹 푸어가 되어가고 있는 건 번역계도 마찬가지;;)
하지만 최상위 1%의 사람들이 90%이상의 부를 소유하는 현상은 글쟁이 사회에도 똑같이 적용되는 것 같다. 총 판매부수가 900만부라는 베스트셀러 작가도 모은 돈이 하나도 없다고 엄살 떠는 판국에(물론 그 사람은 주변인이 다 써버렸다고 변명했다) 밑바닥에서 부정기적인 수입으로 고군분투하는 사람들은 오죽할까. 인세욕심에 눈이 어두워 불을 켰던 3, 4년전의 나도 아마 비빌 언덕 없이 완전 홀로 사는 신세였다면, 오피스텔 보증금을 다 까먹고 난 뒤 며칠에 한번씩 굶어야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내 경우엔 억누를 수 없는 식탐이 자존심과 수치심을 모두 이겨 주변에 손을 벌리게 만들었을 가능성이 농후하지만 말이다.
내 편견속의 글쟁이는 언제나 가난했다. 배부른 자의 손과 머리에선 청아한 생각과 문장이 나오지 않을 것이라는 편견이 대체 어디부터 비롯되었는지는 모르겠으나, 그 정도의 가난과 사회적 홀대와 역경은 감수해야 글줄로 밥벌이를 하겠다고 나설 자격이 된다는 것이 이 사회에 팽배한 의식인 것 같다. 그러다 개천에서 용 나듯, 가뭄에서 콩 나듯, 정말로 대중적인 성공을 거두는 글쟁이가 탄생하지 않는가. 그러나 현실은 참혹하다. '글'만 써서 생계를 유지할 수 있는 작가의 비율은 지극히 적으며, 다들 부업으로 삶을 영위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니 번역만 해서 굶지 않고 살 수 있는 나 정도면 감지덕지해야 할 것만 같다. 그런데 나름 중견이고 중산층인 내가 간간이 굶지 않은 이유의 절반은 캥거루족인 덕분이란 현실은 슬플 수밖에 없다. 만일 내가 부양가족이 있는 홀벌이 '가장' 번역가였다면 부업이 필수였거나, 더욱 코피터지게 일감을 찾아 헤매야했을 것이다. 그간 인세를 100억은 벌었을 작가도 통장에 잔고가 없다는데 나까짓 게으른 인간의 통장 잔고가 비어 있는 건 당연한 일. 최고은 작가와는 엄연히 다른 상황이면서 덩달아 넋두리하는 것 같아 부끄럽지만, 전체적으로 열악한 문화산업의 구조와 글쟁이를 홀대하는 사회 분위기가 만들어낸 서글픈 비극이라는 생각이 자꾸 든다. 결국 타인의 죽음에 제 밥그릇 타령만 하고 앉아있는 이 모진 현실에서 정년이 없어 선택한 이 길은 과연 언제까지 뚫려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