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달력에 주렁주렁 포스트잇에 적어 붙여두었던, 가고픈 전시회가 여섯개나 됐는데 보지도 못하고 하나하나 떨어져나가고 있다. 샤갈전이나마 얼른 보고 오기를 잘했지, 3월까지 한다고 뭉기적거렸다간 어찌됐을지 장담을 못하겠다. 국내에 소장되어 있던 딱 한편의 고흐 그림, <마차와 기차가 있는 풍경>도 새 주인에게 넘어가기전에 전시되었었는데, 가야지 가야지 하다가 날짜를 놓쳤다. 그림 딱 한편에 관람료 만원이 비싸서라기보다는 내게 심리적으로 코엑스가 너무 멀었다. 거기만 다녀오면 지하철 멀미를 하는 바람에...  서로 사는 동네가 멀어서 데려다주기 불편하다는 구실로 헤어지는 연인을 비웃었는데 내가 똑 그짝이구나 싶었다. 고흐에 대한 애정이 그 정도는 아니었던 거지. 대규모 회고전의 경우 양적인 충족감은 있을지 몰라도, 작품 하나하나의 세밀한 감상이 불가능하다며 대규모 전시회를 마뜩찮아하는 이야기를 읽었을 때만 해도, 언제 또 만날 수 있을지 모를 그림이니 더욱 꼭 가야겠구나 생각했으나 결국 생각뿐이었다.

하지만 장욱진 화백의 회고전은 놓치고 싶지 않았다. 과천 현대미술관에도 꽤 소장돼 있고 장욱진 재단도 있으니 머지 않은 시기에 또 만날 가능성이 있지만 그렇다고 '한꺼번에' 앙증맞은 작품들을 볼 수 있는 기회를 마다할 순 없었다. 게다가 전시장도 만만하게 경복궁 옆 갤러리 현대였다. 전시 막바지라 다들 조바심을 냈는지 홍보가 워낙 잘 된 때문인지 평일 오후에 갔어도 사람들이 꽤 많았다. 봄방학을 맞아 아이들을 데려온 엄마들이 특히 많았는데, 동심이 묻어나는 그림이라 아이들도 좋아하는 눈치였다. 여기저기서 그림 설명하는 엄마들 때문에 시끄럽긴 했지만, 엄숙하고 조용한 관람 분위기보다는 어쩐지 그런 소란함이 다정한 그림들과 어울리는 것도 같았다.

포스터 그림은 78년작, 가로수


동그랗거나 길쭉한 단순한 형태의 나무와 옹기종기 모인 마을의 집들, 정겨운 사람들의 모습이 아이들 그림처럼, 대부분 작은 화폭에 그려진 장욱진 화백의 그림이 나는 마냥 좋다. 어떤 화가의 그림이든 대체로 새 그림을 무서워하는 나에게 예외가 있다면 어린 시절 나도 그렸을법하게 선으로만 묘사된 까치로 대표되는 장욱진의 새 그림이다. 장욱진 그림 속의 새들은 어린시절 내게  본격적인 새 공포증을 각인시킨 학교앞 병아리 좌판이나 히치콕 감독의 <새>와도 다르고, 뚱뚱하고 더러운 도시의 닭둘기와도 다르고, 언젠가 내 팔뚝에 똥을 찍 갈기고 날아간 이름모를 새와도 다르다. 



'57 나무와 새, 34x24cm



거의 모든 그림에서 해와 반달이 공존하고 아이들은 사랑스러운 모습으로 나무에 올라가 있거나 가족이나 동무와 함께 걸어가거나 어디선가 놀고 있다. 동화 삽화로도 꼭 어울릴 것만 같지 않은가!

다 좋아하지만 특히 남색과 초록색이 예뻐서 마음에 드는 <나무와 새>, 갈색 배경이 정겨운 <수하>는 봐도봐도 느낌이 좋다. 국내 가방업체에서 장욱진의 그림으로 가방과 지갑류를 선보였기에 신나서 얼른 지갑 하나 골라사고는 요번 전시에 그 그림도 포함되면 좋겠다 생각했으나 아쉽게도 그 그림은 화집속에서나 만날 수 있었다. 그래도 언젠가는 어디서 한번쯤 실물을 만날 수 있겠지. 지갑을 한번 사면 3, 4년은 너끈히 쓰는 편이므로 일단 그 그림이 어디에 소장돼 있는지부터 알아봐야겠다.


이번 전시는 연대별로 화실 이름에 따라 초기, 덕소 시대, 명륜동 시대, 수안보 시대 등으로 그림이 나뉘어 있었는데 시기에 따라서 엄청나게 화풍이 달라지는 편은 아니지만 나는 초기와 덕소시대 그림을 제일 갖고 싶어하는 것 같다. 지난번 덕수궁 석조전에서도 보았던 덕소 화실의 물건들이 여기도 전시되어 있었는데, 화폭이 작으니 덩달아 작고 탄탄해 보이는 앉은뱅이 이젤이 참 탐났다. 그리고 만약에 작품 하나 누가 골라 가지라고 한다면 <수하>가 아닐까 싶다. ㅎㅎ

'54, 수하, 33x24.7cm


이 그림은 재작년 한국근대미술걸작전에 갔다와서도 올렸던 것 같은데, 또 올린다고 문제될 건 없겠지. 아우 예쁘다.

초기에 그린 노란 바탕의 <자화상>도 그렇지만 장욱진의 그림은 간혹 손바닥보다도 작은 캔버스에 오밀조밀 유화를 그려놓았다. 요번에 처음 본 1972년작 <가족도>는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 벽에 오도카니 홀로 걸려 있었는데, 7.5x14.8cm의 작은 크기임에도 보는 이를 감동시키는 힘이 뿜어져나왔다. 주최측에서도 그걸 느꼈는지 일부러 엘리베이터 건너편에 사진촬영용으로 확대해 벽화로 만들어놓았던데, 색감이 어찌나 다른지 도저히 같은 그림이라고 보기 어려울 정도였다. 정감어린 흙색을 왜 시뻘겋게 표현해놓았는지 원! 아이들 데려온 사람들이 너도나도 그 앞에서 기념촬영을 하던데, 나는 불평용으로 찍어왔다. 제아무리 원작의 색감을 살려내기가 어렵기로서니, 자손들과 재단에서 기획한 전시에서 유일하게 벽에 새겨넣은 그림이 그모양이면 어쩐단 말인가. 수없이 기념촬영을 해갔을 사람들의 사진속에서만 장욱진 그림을 접한 이들은, 그 그림이 그토록 시뻘겋고 강렬한 줄로 착각할 게 아닌가. 안타까운 노릇이다.


원작은 이렇게 시뻘겋지 않다규!


문제의 가족도 벽화는 이렇게 생겼다. 원작 그림은 위에 있는 <수하>와 비슷한 색감이라고 보면 됨. 나무의 초록색도 영 아니올시다다.

그밖엔 대체로 흡족한 전시였다. 돌아가시기 불과 두어달 전에 그렸다는 <밤과 노인>도 처음 공개되었고 별로 본 적 없는 먹그림들도 만날 수 있어 좋았다. 생전 모습을 담은 영상물에서 육성도 들을 수 있게 해놓았는데, 주름 가득한 얼굴, 깡마른 체구에 거의 늘 담배를 손에 들고 있는 사진들을 많이 접한 때문인지 이젠 오래전부터 알던 먼 친척같은 느낌이 들 만큼 친근했다. 놓치고 못갔으면 아마 땅을 치고 후회했을듯. 역시나 내일이면 끝나는 <델피르와 친구들> 사진전도, 3월 1일에 끝나는 <피카소와 모던아트> 전시회도 포스트잇 메모를 조금 전 그냥 떼어버리며 아쉬웠지만, 하나는 건졌으니 장하다고 생각할란다. ㅎㅎ

마지막으로 고흐의 <아몬드꽃> 파란 지갑--낡아서 그림이 다 바래 하얗게 됐었다--에 이어 마련한 장욱진의 <나무> 지갑을 화집 옆에 놓고 사진을 찍었다. 아무래도 색감이며 섬세한 부분까지 살려내진 못했지만 (나무 위 노란 집안에는 어린아이가 들어 있다) 백화점에서 본 순간 마음을 빼앗기고 선물로 받으려고 목록에 적어뒀었는데 연말에 세일하길래 냉큼 사버렸다. 음화화핫. 브랜드 로고 옆의 금속 장식 두개만 없으면 금상첨화겠으나 (번쩍이는 거 싫엇!) 동그란 나무에 시선을 돌리면 이내 흐뭇하다. 고흐 지갑 살때는 살아생전 딱 한 편밖에 그림을 못 팔았고 평생 가난했던 고흐에게나 그의 후손들에게 아무런 혜택도 돌아갈 것 같지 않아 좀 찝찝했으나, 이런 그림 저작권료는 장욱진 미술재단으로 들어갈 게 틀림없으니 아깝지도 않다. ^^; 

'86, 나무, 33.4x24.2cm

표에든 그림은 73년작 부엌, 21.6x27cm

Posted by 입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