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에서 carpe diem이란 말을 처음 들은 게 처음 언제였는지
정확히는 모르겠다.
하지만 영화가 주었던 깊은 감동과 충격적인 메시지는 결국
나에게 아전인수격으로
carpe diem = seize the day = 노세노세 젊어서 노세 =_=;; 라는 교훈으로 남았더랬다.

주어진 하루하루를 충실히 살아가는 것과
미래를 전혀 염려하지 않는 것은 엄연히 다르다고도 할 수 있지만
적어도 내 알량한 견해로는 완전히 다르지 않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현재를 열심히 즐기며 살아서 행복하다면, 현재의 연속일 미래도 당연히 행복해지지 않겠는가.

암튼 그러면서 사회생활 19년 통산, 적금통장 하나 없이 살아온 나는
누군가 저축을 도외시하는 내게 미래 설계를 운운하며 나무라면, "불안한 현대사회에서 내일 당장 죽을지도 모르는데 뭘!"이라고 큰소리를 치곤했다.
일년 내내 뼈빠지게 벌어서 휴가를 최대한 즐기는 걸 삶의 낙으로 여긴다는 서양인들의 사고방식에 갈채를 보내며, 나 또한 "골빠지게" 원서를 들여다보며 번 돈이 조금이라도 모이면 과감하게 여행을 떠났으며, 빈털터리가 되어 돌아와선 또 열심히 벌면 된다고 생각했다.
'돈은 써야 또 생기는 거야!'라는 생각은 지금도 크게 변하지 않은 것 같다.
(이래서 나는 절대로 부자가 될 수 없다고 손가락질 하는 이들이 꽤 된다. ^^;)

그런데 얼마전부턴 슬슬 나의 먼 미래가 염려되기 시작했다.
딱히 벌어놓은 돈도 없고, 물려받을 재산도 없으며, 돈벌어다 줄 남편도 없고^^; 혹시 나중에 기댈 여지의 가능성이라도 있을 자식도 없는 주제에 뭘 믿고 이렇게 호랑방탕하게 살아가는가 싶었던 것이다.
일단 나이 들어 경제활동도 못해 가난한데 병들기까지 하면 곤란하겠다 싶어, 아무렇게나 주변에서 귀찮게 찔러대는 대로 이것저것 들어두었던 보험을 정리해 확실하게 큰 돈 드는 질병관리가 보장되는 상품으로 바꾼 게 재작년이었던가. 물론 그간 부었던 보험 해약금을 타들고는 부모님 용돈으로 조금 인심 쓴 뒤, 홀라당 여행을 다녀왔더랬다.
그러고 나서 과연 내가 몇살까지 일을 하고 노후자금을 얼마나 마련해야 노년에 유유자적 여행이나 다니며 살 수 있을 것인가 계산해보니 ㅜ.ㅜ;; 까마득했다.

현재 대한민국 여성들의 평균수명이 83세라는데!
내가 좀 까칠하게 굴고 성질 드러워서 그보다 훨씬 일찍 죽게 된다 해도...
번역이 제 아무리 정년 없는 직업이라지만 60세부터는 소일거리 삼는 일 정도나 하면 모를까 지금처럼 번역기계 돌려대듯 몸과 뇌를 혹사시킬 수야 없는 법.
편한 노년을 보내고 싶어 진 것이다.

해서...
비슷하게 홀로 나이 들어가는 친구들과 몇달 동안 이런저런 고민을 나눈 끝에
결론은 내가 연금보험을 들었다는 얘기다. ㅡ.ㅡ;;

물론 경제관념 전혀 없는 나의 현재 씀씀이와 벌이로 볼 때
아무 걱정 없이 편한 노년을 보낼 수 있을 만큼의 금액은 절대 못되는 작은 시작이지만
어쨌든 만날 '노세노세 젊어서 노세!'라고 외치던 내가
노후대책을 시작했다는 사실이 한편 기특하고, 한편 서글프고,
심정이 아주 복잡다난미묘하다.

나도 오늘의 행복을 저당잡히면서라도 미래의 안일을 꿈꾸는 유형의 인간이 되고 만 것인가.
자꾸 두려움과 생각이 많아지는 것이
성숙의 증거인지, 차츰 자신감을 잃어간다는 증거인지 정말이지 모르겠다.

아무려나 두툼한 보험약관과 증서따위를 받아들고는 급격히 우울해졌다.  
Posted by 입때
,